무역회사나 기업 수출입 쪽에 일하셨으면 들어보셨을 만한 단어로 HS CODE가 있습니다. 오늘은 HS CODE에 대한 설명과 조회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HS CODE 란?
HS CODE(HS 코드)란 통일화된 상품 분류를 위하여 제정되는 국제무역 관세 및 비관세장벽과 무역통계 등에서 사용되는 상품분류표로서 국제무역에서 상품분류를 하기 위하여 부여한 번호체계입니다. HS CODE는 협약에 따라서 6 단위까지 전 세계 공통으로 사용하고 7 단위부터 각국의 상황에 맞게 사용합니다. 우리나라의 관세사들은 수출입되는 모든 물품에 대하여 10자리의 HS CODE를 찾아 분류해야 합니다. HS CODE는 관세율, 원산지, 무역통계, 요건확인, FTA세율 등을 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정확한 분류가 필요한데 잘못 분류된다면 수출입 통관이 지연되어 관세추징 및 처벌을 받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 HS CODE 조회하기
HS CODE는 무역회사에서 요건확인, 관세환급, 수출입 통관절차, 관세액 산정 등의 업무를 위해 10 단위로 정확하게 분류해야 수입요건과 관세액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HS CODE를 조회하는데 가장 정확한 방법은 관세청에서 운영하는 관세법령정보포털에서 HS 코드를 조회하는 것인데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일단 관세법령정보포털에 접속합니다.
1.메뉴의 "세계HS"를 클릭합니다. 2.나오는 속견표에서 조회하고 싶은 물품을 오른쪽 상단 검색창을 통해 검색하여 찾거나 속견표에서 찾아서 클릭합니다. 3.원하는 물품을 찾으면 4단위 호 목록에서 확정을 하게되고 이어서 6단위와 10단위까지 목록을 결정하게 되면 HS CODE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 HS CODE 조회 글을 마치며
HS 코드는 앞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관세액 산출이 되고 원산지 결정기준과 요건확인 그리고 전략물자 대상 여부 등을 확인하는 아주 중요 사항으로 물품특성을 정확히 분류해야 합니다. 수입물품에 따라서 날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HS CODE를 쉽게 결정할 수 없어지는데 이럴 때는 관세청에 문의하여 정확한 조회가 필요합니다.
💎 HS CODE 조회 글에서 추천하는 포스팅 베스트3
파파존스1+1 메뉴 및 가격 그리고 온라인주문 방법 안내